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7

건축기사 건축법규 4장 (건축시 허용오차, 조경대상, 공개공지 등) 01. 공사중의 허용오차 - 건폐율 : 0.5% 이내(건축면적 5㎡ 이하) - 용적률: 1% 이내(연면적 30 ㎡ 이하) - 2%: 건축물 높이, 길이, 출구너비, 반자높이 - 3% : 건축선의 후퇴거리, 인접 건축물과의 거리, 벽체두께, 바닥판 두께 02. 대지의 조경대상 - 대지면적의 200 ㎡ 이상인 대지에 건축하는 경우, 대지면적의 10% - 옥상 조경의 기준 : 옥상부분의 조경면적 2/3에 해당하는 면적을 조경면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조경면적의 50/100을 초과할 수 없음. 03. 공개공지 대상지역 -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상업지역, 준공업지역 04. 공개공지 대상의 규모와 용도 -연면적 5,000 ㎡이상 - 문화 및 집회시성, 판매시설(농산물 유통시설 제외), 업무/숙박/종교/운수시설.. 공학이야기/건축기사 2024. 2. 24.
건축기사 건축법규 3장 (건축 신고와 허가, 용도변경) 01 건축 신고 대상 - 바닥면적의 합계가 85㎡ 이내의 증/개/재축 - 연면적의 합계가 100㎡ 이하인 건축물 - 연면적 200 ㎡미만이고 3층 미만인 건축물의 대수선 - 높이 3m 이하의 증축 건축물 02. 건축허가 - 건축신고 대상 이외에 모든 건축 행위 03. 특별시장/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하는 대상 - 2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만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 - 허가대상 제외 : 공장, 창고 04. 용도변경 - 상위군으로 변경은 허가대상 - 하위군으로 변경은 신고대상 최상위 : 자동차관련시설 산업시설 전기통신시설 문화집회시설 영업판매시설 교육/복지시설 근린생활시설 최하위 : 주거업무시설 05. 건축물의 철거 신고기간 - 임의로 철거 : 예정일 3일 전까지 신고 - 재해로 멸실 : 멸실 .. 공학이야기/건축기사 2024. 2. 24.
건축기사 건축법규 2장 (면적 및 층수 산정 정의) 01 건축면적의 정의 대지면적 - 대지의 수평투영 면적으로함 ※ 대지면적 제외 부분 1) 반대측 도로경계선에서 소요너비에 상당하는선(하천, 철도, 선로부지 등이 있는 경우) 2) 도로 모퉁이에서의 건축선(삼각형의 면적) 건축면적 - 건축물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 면적\ ※ 예외 사항 1) 지표면으로부터 1m 이하에 있는 부분은 제외 사항 2)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은 건축물에 외벽중 내측 내력벽 중심선 바닥면적 -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은 지붕 끝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1m를 후퇴한 선으로 둘러싸인 수평투영 면적 ※ 바닥면적에서 제외되는 경우 1) 필로티,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 2) 승강기탑·장식탑·층고 1.5m 이하인 다락 3)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 공학이야기/건축기사 2024. 2. 24.
건축기사 건축법규 1장 (건축물 기준) 건축물 기준 01. 건축물로 보는 공작물 높이 2m를 넘는 : 옹벽, 담장 높이 4m를 넘는 : 광고탑, 광고판 높이 6m를 넘는 : 굴뚝, 장식탑, 기념탑 높이 8m를 넘는 : 고가수조 바닥면적 30㎡를 넘는 : 지하대피호 02. 건축 용어 정의 지하층 정의 -바닥에서 지표면까지의 평균높이가 해당 층높이의 2분의 1 이상인 것 주요구조부 -내력벽/ 기둥/ 보/ 바닥/ 지붕틀/ 주계단 대수선 - 벽면적 30㎡, 기둥, 보, 지붕틀 3개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도로 - 너비 4m , 막다른 도로는 밑에 표 참조 맏가른 도로의 길이 도로의 너비 10미터 미만 2미터 10미터 이상 35미터 미만 3미터 35미터 이상 6미터(도서지역이 아닌 읍면지역은 4미터 고층건축물 - 층수 30층 이상 이거나 120m.. 공학이야기/건축기사 2024. 2. 24.
건축기사 건축계획 3장 (아파트의 종류별 특징) 01 아파트 종류별 특징 - 계단실형(홀형) : 통행부 면적 감소, 프라이버시가 가장 좋음 - 편복도형 : EV 1대당 이용 주호수가 계단실형에 비해 많음. 고층아파트에 적합 - 중복도형 : 독신자 아파트, 부지의 이용율 높음 중복도에는 채광 및 통풍이 원활하도록 40m 이내 마다 1개소 이상 외기에 면하는 개구부를 설치 - 집중형 : 부지의 이용률이 가장 높음, 독립성이 매우 나쁨. - 판상형 : 경관/조망 불리. 일조영향 큼 - 탑상형 : 환경 불균형, 랜드마크적 역할 - 복층형(메조네트형) 통로면적 감소 -> 임대면적의 증가 다양한 평면 구성 가능 소규모 주택에는 비경제적 02 공동주택의 프라이버(독립성)시 좋은 순서 홀형> 편복도형>중볻고형>집중형 03 공동주택에는 EV 1대당 50~100호가 적당 공학이야기/건축기사 2024.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