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이야기/전기기초31

전동기 토크 공식 유도 직류전동기 토크 공식  동기전동기의 토크 공식  유도전동기의 토크 공식 공학이야기/전기기초 2024. 6. 30.
변압기 등가회로 2장 변압기의 등가회로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변압기는 아파트에서는 22.9kv/380v 로 권수비가 60.26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략 60짜리 권수비를 쓴다고 보면된다. 그렇다면 권수비를 이용하여 2차측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결국 1차측에 22.9kv이면 2차측은 380v, 1차측 1A이면 2차측은 60A이며 1차측 1Ω이면 3600 Ω으로 된다. 이것을 1차측에서 본 2차측 환산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2차측에서본 1차측 환산은 거꾸로 계산하면 됩니다. 공학이야기/전기기초 2024. 6. 29.
변압기의 등가회로 및 벡터도 1장 변압기의 등가회로이전에 공부를 많이 해보면 등가회로도가 하나가 아닌 여러개의 변압기 등가 회로도를 보았을 것이다. 이런한 것 들이 등가회로도의 개념의 이해를 망치는 결과를 주었다. 어떠한 관점 1차측 기준, 2차측 기준 이런것들이 있는데 그런것들은 모두 잊어버리고 일단 실제 변압기 등가회로도를 우선적으로 외우는 것이 첫번째이다. 관점 기준에 의한 다른 등가 회로도에는 다음시간에 설명을 하겠습니다.  실제 변압기는 1차측에 r1, x1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변압기의 자화회로(re,xe)로 표현된 부분은 변압기 자체의 철심과 그에 따른 누설리액턴스, 실제로 떨어져 있지만 자기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차측은 r2,x2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가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하여 벡터도를 그리면 다음과 같급니다... 공학이야기/전기기초 2024. 6. 29.
직권 전동기 이론 직권 전동기의 정의는 계자권선과 회전자권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1. 직권전동기 설명 - 부하시직권전동기는 계자권선을 회전자권선과 직렬연결이 되어 계자전류 If = 회전자권선전류 Is는 같은 값 따라서 계자전류는 입력전류 I와 같고, 역기전력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2. 속도.속도 N에 대해서 정리하고, 위에서 구한 역기전력 E(E=V-Ia(Ra+Rf))를 대입합니다.이때 단순한 관계식으로 보면, 저항 Ra와 Rf는 ϕ에 비해 매우 작아 생략하여속도는 자속 ϕ에 반비례 함을 알 수 있습니다.​​3. 무부하 운전 금지직권전동기의 속도에 대한 식을 살펴봅니다.무부하시에 If가 작아져 자속 ϕ가 0에 가까워 지는데, 이때 속도 N은 매우 커지기 때문에 위험속도에 도달 될 수 있습니다. (직권전동.. 공학이야기/전기기초 2024. 6. 27.
직류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역전(역회전)법 직류전동기의 역전법역전 제동의 경우 전동기의 전기자의 접속을 반대로 하여 전동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켜 급속히 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방법을 역전법 또는 플러깅(plugging)이라 합니다.직류전동기의 역전제동의 방법은 계자 권선이나 전기자 권선 중에 어느 한쪽의 접속을 반대로 하면 됩니다. 직류전동기의 경우 대부분 전기자 권선의 접속을 바꾸면 단자 전압이 반대로 되면서 역전으로 운전이 됩니다.추가적인 문제점은 보극이나 보상권선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 또한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접속합니다.  유도전동기 역전법유도전동기의 1차측의 3상중 2상을 바꾸어 역회전 하는 방법으로 역회전시 큰 기동 전력이 발생하여 이 기동 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콘덴서나 리액터를 삽입하여 과도한 전류의 상.. 공학이야기/전기기초 2024.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