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53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장점20년이상의 장수명 사용 가능건설기간이 짧고 수요증가에 신속히 대응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무인화 가능에너지원이 청정하고 무제한스마트그리드에 최적합 단점저 효율 12%일사량 변동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의 폭이 큼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면적이 필요설치장소가 한정적이고 시스템 비용이 고가투자비가 높고 발전 단가가 높음(한국에서)직류 교류 변한시 고주파의 발생세척이 필요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6. 26.
태양광 발전의 원리와 구성 요소 1. 태양광 발전설비의 원리태양으로 부터 지상으로 방사 에너지를 태양전지를 이용해 직접 전기로 변환위의 그림과 같이 P형과 N형을 접합한 실리콘 반도체에 태양광 에너지를 빛이 입사하면 부(-)의 전기와 정(+)의 전기가 생김. 부는 N형실리콘에서 정은 P형 실리콘으로 분리되어 전극에 전압이 발생. 2. 구성1) 태양 전지(Cell)(1) 결정질 실리콘실리콘을 얇은 기판으로 절단하야 제작하고 그 제조 방법에 따라 단결정과 다결정으로 구분 된다. 대부분의 태양 전지 시장의 95%이상을 차지(2) 박막 태양전지얇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기판에 막을 입히는 방식으로 종류에는 비결정실리콘, CIS , CdTe 의 종류가 있다.(3)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광합성 원리와 비슷한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염료가 여기 되어서 ..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6. 26.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의 요구 기능 인버터의 요구 기능 6가지1. 최대 전력 추종 제어 기능인버터의 최대 전력점에서 응답제어 하도록 최대 전력 추종제어를 할수 있어야함. 이유는 일사량에 따라서 출력특성이 많이 변동 되기때문에입니다. 2. 고효율 제어 기능- 스위칭에 따른 손실과 내부 저항에 따른 고정 손실도를 낮추기 위한 제어기 적용 3. 고조파 및 고주파 억제 기능- 다상 펄스 방식 및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 ( IGBT같은 고속 스위칭으로 인하여 고주파 노이즈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4. 계통 연계 보호 기능인버터의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을 하였을 때에 피해의 범위를 최소화 하는 방법 예) 사고시 계통분리, 인버터 정지등 5. 보호 시스템단락 및 과전류 보호지락 보호과전압 및 저전압 보호등 6. 소음 저감 기능동작 주파수를 가청 주파수( ..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6. 26.
태양광발전용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의 회로방식을 분류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란?많은 글을 보면 PCS와 인버터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물어보는 글이 많다. 인버터와 컨버터가 함께 있는 것이 PCS이며 인버터는 컨버터가 없는 것이다. 태양광에서 나오는 전기는 직류이며 이 직류는 인버터를 설치 한다면 교류로 변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면 엄청 효율적인데. 왜 인버터와 컨버터를 함께 쓰는가 이다. 한전에서는 발전량에 따라 전기를 사고 파는데 이 사고 파는 과정에서 교류용 전력량계를 기준으로 금액을 계산한다.  추가로 여기에 ESS까지 추가 한다면 정확한 발전량을 확인하기 곤란하다. 이 이유로 태양광에서 발전한 전기량을 교류로 변환한 다음 교류 전력량계를 통과하여 발전량을 측정한 다음 남은 전기는 ESS저장하기 위하여 직류로 ..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6. 26.
전력용 Capacitor에 대하여 설명 전력용 Capacitor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1) 계통 이상 시 Capacitor의 보호가. 과전압 보호콘덴서의 허용 장시간 전압은 일반적으로 정격전압의 110% 정도이므로 이 이상의 전압에 대하여는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통상 유도형 한시 과전압 계전기를 사용한다. 과도적인 전압상승 등으로 인한 계전기의 오 동작을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정격전압의 130% 정도에서 동작하도록 하며 시한은 2초 정도로 한다. 과전압발생은 직렬리액터로 인한 과전압발생과 경부하시 리액턴스분의 전압상승에 기인한다. 과전압계전기(OVR) : 콘덴서 자체보호, 정격전압의 130%로 정정나. 저 전압보호회로가 저 전압 또는 무 전압시 콘덴서가 투입되어 있으면 회로 전압 회복시에 콘덴서만이 운전되어 콘덴서로 인한 전압상승으로..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