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5

공조냉동기계기술사의 비참한 글 이글은 2003년도에 특급기술사제도로인하여 기술사가 없어도 특급이 되었을때의 이야기입니다. *기술사의 아픈 현실을 얘기할 때 마음이 아프지만 현실을 제대로 파악할 때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고하여 실린 글입니다. 올해 3월경으로 기억한다. 냉동공조 기술사인 그가 나를 찾아 왔다. 그는 학교 후배이고, 올해 40세로 가끔 얼굴을 보며 지내던 터였다. 유수한 공조기기 회사에서 팀장을 맡아 근무하던 그는 작년 후반기에 회사를 그만 두고 6개월 정도 실직상태였다고 한다. 소주잔을 놓고 여러 가지 얘기를 나눴다. 회사를 그만두고 실직 상태인데 앞으로 뭘 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하면서 조심스레 변리사 시험에 대해 기간, 공부 강도, 미래 전망 등에 대해 물어왔다. 변리사 시험에 도전해 볼까하는 생각을 갖고..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 2024. 3. 12.
공조냉동기계기술사 도면에 인허가가 필요한 이유 건축법 시행령 [시행 2023. 9. 12.] [대통령령 제33717호, 2023. 9. 12., 일부개정] 제91조의3(관계전문기술자와의 협력) ②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창고시설은 제외한다) 또는 에너지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에 건축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관계전문기술자의 협력을 받아야 한다. 1. 전기, 승강기(전기 분야만 해당한다) 및 피뢰침: 「기술사법」에 따라 등록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또는 발송배전기술사 2. 급수ㆍ배수(配水)ㆍ배수(排水)ㆍ환기ㆍ난방ㆍ소화ㆍ배연ㆍ오물처리 설비 및 승강기(기계 분야만 해당한다): 「기술사법」에 따라 등록한 건축기계설비기술사 또는 공조냉동기계기술사 3. 가스..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 2024. 2. 5.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산업인력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기술사들의 평균 필기 합격률은 10%내외라고 한다. 100명이 시험을 본다면 10명이 합격한다는 소리이다. 지금 공무원 시험의 경쟁률로 따진다면 10:1정도의 난이도라도 생각을 하겠다. 공조냉동기계기술사는 평균 10% 안밖으로 소방이나 전기 분야에 비하여는 합격률이 높다. 이는 좋다고 도 볼 수 있지만 그 만큼 인원조절을 하여 기술사의 권한을 조절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공계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였다면 10%의 확률은 충분히 해볼만하다. 전기나 소방에 비하여서는 권한이 약하고 먹고사는데 고민을 하여야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자기 만족도 있으며 기계설비법에서는 특급으로 기계설비유지관리자와 냉난방면적 1만이상과 아파트를 설계 할때 공조냉동기계나 건축기계설비 기술사의 ..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 2023. 9. 13.
기계설비 티어표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 2023. 9. 8.
공조냉동기계기술사 연봉 상주로 근무할경우 5000만원이 대부분이다. 비상주는 1달 쓰고 해고하는등의 대우가 낮아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조기술사 취득후 10년정도의 경력을 요구하는 것같다. 특급의 요구를 맞추기위해서이다. 특급은 5000만원. 으로 판단된다. 공학이야기/공조냉동기계기사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