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기초내용15

기계식 주차장의 종류 기계식 주차장의 종류 수직순환식 주차에 사용되는 부분(주차구획)에 자동차를 들어가도록 한 후 그 주차구획을 수직으로 순환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된 주차장치 구분방식 : 수직순환식, 하부(상부,중간)승입식 ○대 수평순환식 주차구획에 자동차를 들어가도록 한 후 그 주차구획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장치 구분방식 : 수평순환식, ○단 각형(원형) 하부(상부,직접) 승입식 ○대 다층순환식 주차구획에 자동차를 들어가도록 한 후 그 주차구획을 여러층으로 된 공간에 상하 또는 수평으로 순환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장치 구분방식 : 다층순환식, ○단 각형(원형) 하부(상부, 직접) 승입식 ○대 2단식 주차구획이 2단으로 배치되어 있는 주차구획에 상하 또는 상하, 수평이동.. 부동산/기초내용 2024. 2. 24.
경매 권리분석하는법 (1) 일반적인경우 - 아파트 법원 경매함에 있어서 권리를 분석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경매에는 많은 서류와 문서들이 존재한다. 서류의 목록을 보면 1. 감정평가서 2. 현황조사서. 3. 세대열람 4. 매각물건 명세서 5. 부동산 표시목록 6. 건축물 현황 7. 건물등기 8. 건축물대장 9. 사건내역 10. 기일내역 11. 문서/송달 내역 빨간 것으로 표시한 부분은 권리 분석에 직접적으로 분석이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 하시면 됩니다. 우선 첫번째로 건물등기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등기는 표제부, 갑구, 을구 3가지의 구성으로 존재합니다. (본 사이트에 등기 보는법 확인) 갑구와 을구를 순서 대로 보면 이렇게 정리 됩니다. 여기서 임차권이 전세권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존 세입자가 전세권이 2억8천만원이 물려 있습니다. 그러나 걱정.. 부동산/기초내용 2024. 2. 7.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주거면적) 차이 배움에 앞서 다음용어는 같다는 것을 먼저 암기하세요 전용면적 = 주거면적 = 주거전용면적 암기 다하셨죠? 이제 본론으로 갑니다. 네이버 부동산 매물을 보면 공급/전용 이렇게 두개가 나오는데 이것이 무엇일까? 궁금증이 생기곤 합니다. 전용면적 : 실제 생활하는 주거 전용면적 예) 방, 거실, 화장실, 주방 공급면적 = 전용면적 (25평) + 주거공용면적 (9평) = 34평 서비스면적은 전용이나 공용에 포함이 안되는데 1.5미터 이하의 베란다 길이이어야 서비스면적으로 인정되며 1.5미터 초과시 전용으로 포함됩니다. (정리) 장점 배란다 길이(침실부터 외벽 배란다까지) 서비스면적 전용면적 전용면적기준세금 납부시 유리(절세) 1.5미터 이하 O(포함) X(미포함) 전용면적기준세금 납부시 불리(과세) 1.5미터 .. 부동산/기초내용 2023. 9. 9.
용적률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의 비율로 산정 된다(「건축법」 제56조). 국토계획법에서 용적률의 최대 한도를 규정하는 것은 지상 부분 토지의 적정 이 용밀도를 규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용적률 산정시 연면적은 지하층 부분의 면적이나 사람들의 상시적 인 거주성이 없는 공간의 면적은 제외한다(이하, 용적률 산정에 관여하는 연면적은 편의상 ‘지상층 연면적3)’이 라고 부르기로 한다). 용적률 제외 면적은 4가지 입니다. 1. 지하층 면적 2. 사람들의 상시적인 거주성이 없는 공간의 면적 3. 초고층 건축물과 준초고층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shelter safety zon)(건축법시행령 제34조제3항 및 제 4항)의 면적 4. 건축물의 경사.. 부동산/기초내용 2023. 9. 8.
지목이란? 지목 28개 종류 설명 지목이란?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 종류를 구분하는 명칭입니다. 지목은 세가지에 따라 결정하여 지목을 지정합니다. 용도, 지형, 토성에 따라입니다. 용도는 토지의 현실적인 용도이며 지형은 형상 고저, 수륙등, 토성은 암석 지층의 토양의 종류입니다. 이렇게 하여 결정되는 지목은 총 28가지입니다. 1. 전 (밭)전 (田)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 · 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 · 약초 · 뽕나무 · 닥나무 · 묘목 · 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 2. 답 (논)답 (沓)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며 벼 · 연(蓮) · 미나리 · 왕골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 3. 과수원 과 (果) 사과 · 배 · 밤 · 호두 · 귤나무 등 과수류를 집.. 부동산/기초내용 2023.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