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7

엘리베이터 설치 기준 일반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 이하인 건축물: 1대 이상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를 넘는 건축물: 1대에, 1,500 ㎡를 넘는 3,000㎡ 이내마다 1대씩 더한 대수 이상 예시 ) 31층 이상에 바닥면적이 4500 ㎡인 경우 2대 예외 규정 : 그러나 예외적으로 높이 31m를 넘는 ① 각층을 거실 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②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 ㎡ 이하인 건축물 ③ 층수가 4개 층 이하로서 당해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 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500㎡)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은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 하지 않아도 된다..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1. 18.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 [시행 2023. 4. 25.]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23-65호, 2023. 4. 25., 일부개정.] 산업통상자원부(전력계통혁신과), 044-203-3936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전기사업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8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8조, 같은 법 제27조의2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의2 규정에 의거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의 유지기준을 수립하고, 같은 법 제27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조의2 규정에 의하여 송전용 전기설비를 갖추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용어의 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고시에서 정의하고 있지 않은 용어는 법, 같은 법 시행령,..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1. 17.
선로 4정수(R, L, C, G)와 교류 도체 실효 저항 선로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누설 콘덕턴스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전기회로이다. 선로정수는 계전기 설정, 유도전압 발생 설계, 이상 전압, 전력 안정도 계산에 쓰인다. 1) 저항 교류 도체 실효 저항 식 r = r(0) x k(1) x k(2) r(0) : 20℃ 에서 직류 도체 저항 (Ω/㎝) k(1) : 온도 환산 계수 = 상시 허용 온도에서의 도체 저항과 20℃에서의 도체 저항의 비 k(2) : : 교류 도체 저항과 직류도체 저항과 비 * 직류시 k(2) =1 , 즉 k(1) 만 고려 k(1) = 1+ a (T(1) - 20) a : 저항 온도 계수 T(1) : 도체 최고 허용 온도 K(2) = 1+∧(s) + ∧(p) ∧(s) : 표피 효과 계수 ∧(p) : 근접 효과 계수 일반적인 전선..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1. 16.
IEC 60364-3(건축전기설비) 배전 계통 접지 방식 1.개요 국제 규격이 안전성과 신뢰성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2002년 제정되었다. 2. IEC 60364 적용 범위 1) 건축 전기 설비 분야의 공칭 전압 교류 1000V 또는 직류 1500V 이하의 전압(현, 국내 : 저압, 고압, 특고압으로 구분) 단 전기 철도용, 자동차용, 전기 사업자의 배전계통이나 발전, 송전은 제외 3. 접지방식 직접 접지 방식 : TN-C, TN-S, TN-C-S 직접 다중 접지 방식 : TT 비접지 방식 : IT 1)코드 문자 관계 기호 내용 첫번째 전력계통과 대지의 관계 (계통접지) T(접지) 직접 접지 I(절연) 비접지 또는 임피던스 접지 두번째 노출성부분과 대지의 관계 (보호접지) (중성선) 노출 도전부를 전력 계통의 중성점(N)에 접속 T(접지) 노출 도전부(기..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1. 11.
IEC 60364(건축전기설비) 해설 1. 개요 감전보호에는 그 사용전압의 고려가 필요, 전압에 대한 일률적 구분이 필요하여 전압밴드를 규정함. 2. 용어정의 1) 공칭전압(Norminal Voltage) -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한다. 2) 접촉전압 - 사람이나 동물 등이 도전부에 접촉할 경우 작용하는 전압을 말한다. 3) 예상 접촉 전압 - 사람이나 동물등이 도전성 부위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 동시에 접근 가능한 도체간 전압을 말한다. 4) 규약 접촉 전압 한계(기호 UL) - 특정한 외적 영향의 조건하에서 무한히 계속되는 것이 허용되는 접촉전압의 최대값을 말한다. 출처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공학이야기/건축전기기술사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