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19 142.1.2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142.1.2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1. 접지시스템은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전기설비의 보호 요구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나. 지락전류와 보호도체 전류를 대지에 전달할 것. 다만, 열적, 열・기계적, 전기・기계적 응력 및 이러한 전류로 인한 감전 위험이 없어야 한다. 다. 전기설비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2. 접지저항 값은 다음에 의한다. 가. 부식, 건조 및 동결 등 대지환경 변화에 충족하여야 한다. 나. 인체감전보호를 위한 값과 전기설비의 기계적 요구에 의한 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1의 “가” 전기설비의 보호 요구사항은 KEC 203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 310 “안전을 위한 보호”, 320 “접지설비”등에서도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의 목적은 KS .. 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 2024. 1. 3. 더보기 ›› 142 접지시스템의 시설 1에서 접지시스템의 구성은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기타설비로 구성되고, 요구사항은 KS C IEC 60364-5-54(저압전기설비-제5-54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따르도록 규정한 다. 접지극은 KEC 142.2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접지도체 및 보호도체는 KEC 142.3 “접지도 체・보호도체”의 해설을 참조한다 2는 KS C IEC 60364-5-54의 “542.4 주접지단자”에 의해 보호 본딩도체, 접지도체(접지극), 보호도체 및 기능성 접지도체 등은 주접지단자를 설치하고 주접지단자에 직접 접속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주접지단자에 접속된 각 도체는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접속은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하며, 도구를 이용해서만 분리할 수.. 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 2024. 1. 3. 더보기 ›› 전로의 절연, 접지시스템, 피뢰시스템 (130 전로의 절연) 131 전로의 절연 원칙 ······························································································································· 32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 33 133 회전기 및 정류기의 절연내력 ···························································································.. 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 2024. 1. 3. 더보기 ›› 8.2 접지시스템 1. 접지 시스템 1) 계통접지 :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연결하는 것으로 변압기의 중성점(저압측의 1단자 시행 접지계통 포함)을 대지에 접속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중 성점 접지라고도 한다. KEC 203.1 “계통접지의 구성”에 의해 계통접지는 저압전로의 보호도체 및 중성선의 접속방식에 따라 TN 계통, TT 계통 및 IT 계통으로 분류한다. 또한, 중성점접지에 관련하여서는 KEC 142.5 “변압기 중성점접지” 및 KEC 322.5 “전로의 중성점의 접지” 등에 기준이 규정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특고압에서 고압 또는 저압 변환시 계통에 접지 2)보호접지 : KEC 203.1 “계통접지 구성”에서와 같이 3종류의 접지계통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접지계 .. 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 2024. 1. 2. 더보기 ›› KEC 저압설비의 감전에 대한 보호 211 감전에 대한 보호 211.1 보호대책 일211.1.1 적용범위 인축에 대한 기본보호와 고장보호를 위한 필수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외부영향과 관련된 조건의 적용과 특수설비 및 특수장소의 시설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보호의 적용을 위한 조건도 규정한다. 211.1.2 일반 요구사항 1. 안전을 위한 보호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다음의 전압 규정에 따른다. 가. 교류전압은 실효값으로 한다. 나. 직류전압은 리플프리로 한다. 2. 보호대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야 한다. 가. 기본보호와 고장보호를 독립적으로 적절하게 조합 나. 기본보호와 고장보호를 모두 제공하는 강화된 보호 규정 다. 추가적 보호는 외부영향의 특정 조건과 특정한 특수장소(240)에서의 보호대책의 일부로 규정 3. 설비의 각 부분에서 하.. 전기기사/전기설비기준 2023. 8. 27. 더보기 ››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