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18

대지 저항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개요 1) 접지 저항 - 접지 저항은 대지 저항율에 전극의 형상등 함수의 곱이다. 즉, 접지저항 R = p f 여기서 p : 대지 저항률 (Ω·m) f : 함수 ( 전극의 형상에 의해 결정됨) 2) 대지 저항율 - 대지저항율이란 대지(토양)의 일정 체적의 전기저항이며, 대지 고유 저항이라고 하며, 단위로는 (Ω·m) 또는 (Ω·Cm)를 사용한다. -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 2024. 1. 3.
142.3 접지도체・보호도체 142.3 접지도체・보호도체 142.3.1 접지도체 1. 접지도체의 선정 가. 접지도체의 단면적은 142.3.2의 1에 의하며 큰 고장전류가 접지도체를 통하여 흐르지 않을 경 우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1) 구리는 6 ㎟ 이상 (2) 철제는 50 ㎟ 이상 나.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는 경우, 접지도체의 단면적은 구리 16 ㎟ 또는 철 50 ㎟ 이 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접지도체와 접지극의 접속은 다음에 의한다. 가. 접속은 견고하고 전기적인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접속부는 발열성 용접, 압착접속, 클램프 또 는 그 밖에 적절한 기계적 접속장치에 의해야 한다. 다만, 기계적인 접속장치는 제작자의 지 침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나. 클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접지극 또는 접지도체를..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 2024. 1. 3.
142.2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142.2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1. 접지극은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가. 토양 또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접지극의 재료 및 최소 굵기 등은 KS C IEC 60364-5-54(저압 전기설비-제5-54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표54.1(토양 또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접지극으로 부식방지 및 기계적 강도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최소 굵기)”에 따라야 한다. 나. 피뢰시스템의 접지는 152.1.3을 우선 적용하여야 한다. 2. 접지극은 다음의 방법 중 하나 또는 복합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가. 콘크리트에 매입 된 기초 접지극 나. 토양에 매설된 기초 접지극 다. 토양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직접 매설된 금속전극(봉, 전선, 테이프, 배관, 판 등) 라. ..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 2024. 1. 3.
142.1.2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142.1.2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1. 접지시스템은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전기설비의 보호 요구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나. 지락전류와 보호도체 전류를 대지에 전달할 것. 다만, 열적, 열・기계적, 전기・기계적 응력 및 이러한 전류로 인한 감전 위험이 없어야 한다. 다. 전기설비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2. 접지저항 값은 다음에 의한다. 가. 부식, 건조 및 동결 등 대지환경 변화에 충족하여야 한다. 나. 인체감전보호를 위한 값과 전기설비의 기계적 요구에 의한 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1의 “가” 전기설비의 보호 요구사항은 KEC 203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 310 “안전을 위한 보호”, 320 “접지설비”등에서도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의 목적은 KS ..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 2024. 1. 3.
142 접지시스템의 시설 1에서 접지시스템의 구성은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기타설비로 구성되고, 요구사항은 KS C IEC 60364-5-54(저압전기설비-제5-54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따르도록 규정한 다. 접지극은 KEC 142.2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접지도체 및 보호도체는 KEC 142.3 “접지도 체・보호도체”의 해설을 참조한다 2는 KS C IEC 60364-5-54의 “542.4 주접지단자”에 의해 보호 본딩도체, 접지도체(접지극), 보호도체 및 기능성 접지도체 등은 주접지단자를 설치하고 주접지단자에 직접 접속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주접지단자에 접속된 각 도체는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접속은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하며, 도구를 이용해서만 분리할 수.. 공학이야기/전기설비기준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