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선 종류
반응형
-
-
컨테이너선은 미국에서 처음 취항되면서 전세계 해상운송의 주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화물을 컨테이너에 넣어 운송하는 컨테이너선은 하역시간 단축과 하역비용 절감을 위해 산업 전반의 추세에 따라 발전되어,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신속한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을 취급하기 때문에 다른 종류에 비해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 ② 적재형태에 의한 컨테이너선 분류
- 2-1) 풀 컨테이너선 (Full-Container Ship)컨테이너 화물만을 수송하는 전용 선박이다.
- 2-2) 세미 컨테이너선 (Semi-Container Ship)컨테이너 화물과 일반 화물을 동시에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컨테이너 전용선박과는 달리 일반 화물을 취급하기 위해 선상에 크레인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③ 하역방식에 의한 컨테이너선 분류
- 3-1) LO/LO(Lift-on/Lift-off)선
- 3-2) RO/RO(Roll-on/Roll-off)선
일반적으로 육상의 부두에 놓인 크레인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운반하는 방식을 Lo-Lo(Lift-on/Lift-off)라고 하는데 Ro-Ro 방식은 이와 비교해 봤을 때 빈 공간이 3~5배가 더 필요하여 적재 효율성 면에서는 떨어지지만, 자동차와 같이 바퀴가 달린 특수 화물을 적재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하역 시간이 단축되고 옮기는 과정이 짧기 때문에 화물의 안전도 및 도난의 방지도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Ro-Ro선 제작은 자동차 산업이 발달한 일본과 전통적으로 해운강국이 밀집한 북유럽 국가들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3-3) LASH(Lighter Aboard Ship)선
- 3-1) LO/LO(Lift-on/Lift-off)선
-
컨테이너선 카테고리 |
용량(TEU) |
전체 길이 |
빔 폭 |
드래프트 |
선박 예시 |
ULCV(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 14,501TEU 이상부터 |
366미터 이상(1,200피트)부터 |
49미터 이상부터(160.7피트) |
15.2미터 이상(49.9피트) 수심에서 |
오늘날 가장 큰 선박은 모두 이 범주에 속합니다. 이 목록에는 다음과 같은 선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에버 에이스, 마드리드 머스크, HMM 알헤시라스 모두 49미터 이상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속하는 선박은 수에즈 운하를 항해할 수 있습니다. |
뉴 파나막스(네오파나막스) | 10,000TEU에서 14,500TEU까지 | 295미터에서 366미터(965피트에서 1,200피트)까지 | 32.31미터에서 49미터(106피트에서 160.7피트)까지 | 12.05미터~15.2미터(39.5피트~49.9피트) | 구 파나마운하와 신 파나마운하의 수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카테고리의 선박은 운하의 이름에 따라 이름이 붙여집니다. 다음과 같은 최신 세대의 파나막스급 선박은 코스코 광저우 클래스 선박이 이 범주에 적합합니다. |
포스트 파나막스 | 5,101TEU에서 10,000TEU까지 | 295미터에서 366미터(965피트에서 1,200피트)까지 | 32.31미터에서 49미터(106피트에서 160.7피트)까지 | 12.05미터~15.2미터(39.5피트~49.9피트) | 뉴 파나막스와 동일합니다. |
파나막스 | 3,001 TEU에서 5,100 TEU까지 | 최대 294.13미터(965피트) 높이 | 최대 32.31미터(106피트) | 최대 12.04미터(39.5피트) 높이 | 이 범주에 속하는 선박은 파나마 운하의 오래된 자물쇠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박은 빔 폭이 32.2m인 베이 클래스에 속합니다. 예를 들어 MV 프로비던스 베이 컨테이너 용기. |
Feedermax | 2,001 TEU에서 3,000 TEU까지 | 이 범주에는 흔히 피더선이라고 불리는 가장 작은 컨테이너선이 포함됩니다. 최대 3,000TEU까지 운송할 수 있으며 MV 트랜스대서양 완전 셀룰러 컨테이너선이 그 예입니다. | |||
피더 | 1,001TEU에서 2,000TEU까지 | Feedermax와 동일합니다. | |||
소형 피더 | 최대 1,000TEU | Feedermax와 동일합니다. |
반응형
'공학이야기 > 해양&선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의 엔진(주기관) 종류 (0) | 2024.08.08 |
---|---|
컨테이너선의 역사 (0) | 2023.08.31 |
벌크선 종류 (0) | 2023.08.29 |
해기사 기출문제집 링크 (0) | 2023.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