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기계기사는 무쓸모 인가?

육상해기사 2024. 8. 27.
반응형

1. 일반기계기사의 역사

일반기계기사는 선박기계기사 1급과 기계기사 1급이 합쳐저서 그냥 일반기계기사로 불리게 되었다.

선박의 기계와 일반기계, 정밀기계의 영역이 함께 있다는 이야기가된다.

이는 선박의 유체, 일반기계의 열, 정밀기계의 동역학과 재료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2. 일반기계기사의 과목과 난이도.

옛날과 현재의 과목의 종류가 달라졌다.

현재는 필기

순서 과목 문제 난이도
1 기계제도 및 설계 20문제
2 기계재료 및 제작 20문제
3 구조 해석 20문제 20문제
4 열·유체 해석 20문제

 

옛날 필기

순서 과목 문제 난이도
1 열역학 20문제
2 유체역학 20문제
3 재료역학 20문제
4 동역학 20문제
5 기계재료 및 제작 20문제

전기기사 : 

일반기계기사 :   , 옛날 일반기계기사   

냉동공조기계기사 :

건축기사 :

 

위의 표를 보면 진짜 예전에는 난이도가 훨씬 높았다. 심지어 실기는 필답형 2시간반과 실기형 5시간을 보면서 취득을 한다. 이 노력에 비하여 활용도는 매우 낮다. 단지 필기과목은 공기업 과목에 겹치기 때문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지. 일반기계기사는 기계설비법에 초급 기술자나 건설기술인에 포함되지만 이 부분에 대하여서는 메인이 냉동공조기계기사가 훨씬 이득이 있기 때문에 너무 어렵고 활용도가 떨어진다.

심지어 취득 난이도는 전기기사와 동급이다.  전기기사는 취득하였지만 일반기계기사는 2차에서 탈락하여 포기 하였다.

3. 합격률

너무 신기한건 응시인원이 많고 또한 합격률이 의외로 많다는 것이다. 나의 생각에는 우리나라에 기계과가 너무 많이 때문에 응시 인원이 많은 것 같다.

4. 마무리

개고생 대비 일반기계기사 무쓸모

반응형

댓글